티스토리 뷰
목차
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₩10,320원 (전년 대비 2.9%↑)으로 확정됐습니다. 이번 인상은 2025년의 1.7%에서 크게 높아져, 노동자와 자영업자 모두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입니다
2026년 인상률 2.9%의 의미 분석
- 2025년 인상률(1.7%) 대비 **+1.2%p 증가**, 최근 5년 기준 두 배 가까운 상승폭입니다
- 최근 추이: 2021 1.5% → 2022 5.05% → 2023 5.0% → 2024 2.5% → 2025 1.7% → 2026 2.9%
- 경제·사회 균형 차원에서 “완급 조절형 인상”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
역대 인상률 비교 – 시대별 추이
연도 |
인상률(%) |
---|---|
2018 (문재인 정부) | 16.4% |
2022 (윤석열 초반) | 5.05% |
2023 | 5.0% |
2024 | 2.5% |
2025 | 1.7% |
2026 | 2.9% |
2018년의 16.4% 인상은 역대 최대이며, 2026년 2.9%는 비교적 완화된 수준입니다
인상률 2.9%는 실생활에 충분한가? (CPI·물가 비교)
한국은행과 IMF는 2026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.8~2.0% 수준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이번 인상률(2.9%)은 물가 상승을 웃돌아 실질 임금 상승 여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. 다만 에너지·식품 물가 변동성으로 인해 체감 효과는 개인·지역·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인상률이 월급·수당에 주는 실질 변화
- 시급 기준: ₩10,030 → ₩10,320 → **+₩290**
- 209시간 기준 월급 기준: **₩2,096,270 → ₩2,156,880**, 즉 **월 +₩60,610** 변화
- 주휴수당 포함 시 실질 상승 폭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.
자영업자·소상공인의 반응 및 대응 전략
인상률 |
자영업자 반응 |
추천 대응 전략 |
---|---|---|
0%~5% | 수용 가능 | 재료비 절감, 메뉴 일부 조정 |
5%~10% | 가격 인상 고려 | 고정비 및 유틸리티 점검 |
10% 이상 | 고용 축소 우려 | 정부 지원 철저 활용 |
2.9% 인상은 중간 수준 부담으로, **메뉴 일부 조정 + 비용 절감 + 정부지원 활용** 전략이 효율적입니다.
결론 정리
- 2.9% 인상은 *물가 상승률(1.8~2.0%)을 넘어 실질 임금 상승 효과* 가능
- 월급 기준 실질 상승은 *월 약 ₩60,000*
- 자영업자는 가격 조정, 비용 점검, 지원금 활용을 조합해 대응해야 함
함께 보면 좋은 글
2026 최저임금 인상 대응 전략
2025.07.23 - [분류 전체보기] - 자영업자라면 꼭 읽어야 할, 2026년 최저임금 인상 대응 전략
자영업자라면 꼭 읽어야 할, 2026년 최저임금 인상 대응 전략
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₩10,320 (전년 대비 2.9%↑)로 결정되었습니다. 이는 17년 만에 노·사·공익위원 전원 합의로 확정된 결과로, 자영업자·소상공인의 부담, 알바생·청년층의 체감 등 다양한
suntory.totojho.com